어제 성호가 팔이 부러져서 병원신세를 지게 되었다.일요일이라 근처 대학병원(강남성심병원) 응급실로 갔다. 응급실에 갈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참 불편하다. 응급실이라는게 정말 어쩔 수 없이 급해서 오는 곳인데 오게 되면 보통 인턴이나 레지던트가 이것저것 물어보고 확인하면서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물어본거 또 물어보고 간단한 응급처치만 하면서 기다리는 일이 허다하다. 전공의사가 있어서 이것저것 궁금한것을 물어보고 싶어도 없다. 아주 응급상황이면 그때서야 전화해서 찾으면 오는 체계인듯 하다.
나야 뭐 의료업계가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물론 내부 사정은 잘 모른다. 하지만, 돈많은 부자들이야 아무때나 일급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겠지만, 대다수 서민들이 병원을 이용하는데 있어 의사 수가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의사를 좀 많이 뽑아서 응급실에도 전공의들이 교대로 진료를 좀 하면 안되는 것일까?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인턴이나 레지던트 정원을 확정하는걸로 알고 있다. 그런데 항상 들리는 얘기가 수급불균형을 이유료 소폭증가로 결정했다느니, 일부는 줄였다느니 하는 기사를 본다. 수급불균형이라.. 지금 개원하고 적자를 본다는 개인병원들이 많다는 얘기는 심심치않게 들리긴 하지만 글쎄 피부에 와닿진 않는거 같다. 여전히 의사는 사회적 강자이고 환자는 약자이다. 환자를 줄세워놓고 기다리게 하면서 애를 태우다가 겨우겨우 담당의사 만나서 이것저것 물어보고 싶어도 귀찮은듯 한두마디 하고 휙 다른환자에게 가버리는 의사를 보고 있자면 울화가 치민다.
요즘 한창 문제가 되는 의약품 재지정 논란이나 수급불균형을 이유로 의사수를 늘이지 않는 정부나 그들이 자기들 주장을 할때마다 앞세우는 "국민"은 어디있는지 모르겠다.
2011년 6월 27일 월요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책을읽자] 가녀장의 시대
이슬아 저 | 이야기장수 | 2022년 10월 07일 가부장이 아니라 가녀장의 시대. 주인공인 슬아는 잘나가는 1인 출판사 사장이고 직원은 각각 엄마와 아빠다. 슬아가 제일 돈을 많이 벌고 가정을 책임지니 “가녀장” 이다. 소녀가장과...
-
얼마전부터 차에 매립한 아이나비 화면 상에 트립 정보창이 안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네비게이션 지도 위에 반투명한 레이어가 떠서 라디오 주파수나 에어컨 상태, 노래 제목 등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는 트립기능이 고장이 난듯 했다. 처음 증상이 나타났을때는 ...
-
2021년 8월 17일 구입해서 딱 3개월 사용한 있는 갤럭시 Z플립3 휴대폰에 문제가 발생했다. 며칠전부터 충전이 잘 안된다. 증상은 C타입 고속케이블을 충전단자에 꽂으면 온도가 낮다면서 충전이 안되는 현상이다. 항상 그러는건 아니고 수시로 그런다...
-
몇년전에 해외직구로 구입한 갤럭시 탭프로 8.4 가 있다. 그당시에 반년 정도 사용한거 같은데 어느순간부터 배터리 광탈 증세를 보여서 사용을 못했다. 충전도 잘 안되고, 충전 겨우 100프로 해놔도 10~20분이면 배터리부족으로 꺼져버리기 일쑤. 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